육임이란 무엇일까?

2025. 2. 11. 16:54천문역학

가빈사양처:편안할 떄는 생각조차 안 하다가 어려움이 닥칠 때 아쉬워함

 

 

육임이란 무엇일까?

무릇 인간이 길흉화복을 잘 알고 벌어진 일을 신속히 대처해 나간다면 인생이 그리 힘들것 같지는 않다.

 

개운이라는 것은 어려움에 당면했을떄 이것을 헤처나가는힘과 미리 이것을 알고 돌아가는 것이  개운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내가 접해본 六壬은 기민성,정확성,간단명료성과 같은 특징이 있어 점단자나 문점자가 각자의 의무나 역할에 충실해지는 學術이다.
人事神示 라는 말이 육임을 표현하는 딱 적절한 단어임에 틀림이 없다.
자기에게 닥친 고민이나 일로 인해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할때 명료하게 답을 내 주는게 占이다.
퇴계 이황선생도 占을 쳤고 "역학전의"를 쓰쎴다.
대대로 내려오는 성숙한 지혜와 내용이 함축된 언어를 잘 개발하고 계절의 변화, 우주 기운의 변화등 모든 복합적인 자연현상을 논리적인 추산으로 잘 다듬고 이해한다면 人事, 鬼神 ,地理 에 통달하지 않을까 한다.
 
六壬(육임)은 吉을 따르고 凶은 피하게 하는 學術이다.
육임의 3가지 중요한 점은 변화의 주체는 나이고, 현 기운의 계절과의 연관성, 사건당일 시간의 이벤트적 의미 등의 응집물의 결과로 보면된다.
육임도  피해갈수 없이 음양오행이 매우 중요한 핵심포인트가 된다.
대자연의 변화(천기)에 따른 음양오행의 왕상휴수와 천간지지간의 변화양상, 변화의 정도 를 측정하여 도식화한 후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고로 사람, 공간, 시간의 이 세가지 응집물의 결과가 도식표로 나타내어진다고 보면된다.
굉장히 과학적이고 수학적인 작업인것 이다.